청년도약계좌는 2023년에 처음 도입되어, 2025년 현재까지 청년층 자산형성을 위한 대표적인 정부지원형 금융 상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. 5년간 최대 5,000만 원까지 목돈 마련이 가능해, 사회초년생들에게 매우 유용한 제도입니다.
✅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일정 소득 조건을 충족한 청년이 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, 정부가 소득 수준에 따라 보조금 및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자산형성 상품입니다. 청년내일채움공제가 직장인 전용이라면, 도약계좌는 자영업자, 프리랜서 포함한 폭넓은 청년 대상입니다.
✅ 가입 조건 (2025년 기준)
- 만 19세 이상 ~ 34세 이하 (병역 이행 시 최대 39세까지 가능)
- 개인 소득이 월 500만 원 이하
- 가구 중위소득 180% 이하 (건강보험료 기준으로 판단)
- 국내 거주 및 거주기간 183일 이상 유지
✅ 혜택 및 정부 지원
- 최대 5년간 납입 가능
- 매달 최대 70만 원 납입 시, 정부에서 월 최대 4만~24만 원 추가 적립
- 비과세 혜택: 이자소득세 면제 (기본 금리 + 보조금 포함)
- 5년 만기 시 최대 5,000만 원 수령 가능
✅ 신청 방법 요약
- 은행 앱(국민은행, 신한은행 등) 또는 정부 플랫폼(청년정책포털) 접속
- 본인 인증 및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소득 조건 자동 검토
- 가입 한도 확인 후 매월 자동 이체 설정
- 1년 이상 유지 시 중도 해지 불이익 최소화
✅ 실제 예시 계산 (월 70만 원 납입 기준)
항목 | 금액 |
---|---|
청년 본인 납입액 (월 70만원) | 4,200만 원 (5년) |
정부 지원금 (소득에 따라 월 4~24만원) | 최대 1,440만 원 |
최종 수령액 | 최대 약 5,640만 원 |
📌 주의할 점
-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으면 정부 지원금이 삭감될 수 있음
- 중도 해지 시 보조금 회수 가능 → 1년 이상 유지 권장
- 개인 소득 외에 가구소득 기준도 충족해야 함
📍 마무리: 지금이 가입 최적기
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형 목돈 마련 수단으로, 복잡한 투자 없이 안정적으로 자산을 모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. 특히 2025년까지 정부 예산이 확보되어 있는 만큼, 올해 안에 가입을 추천드립니다. 단, 가구 소득 기준과 납입 여력은 사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👉 다음 포스트 보기: [3편] 청년월세지원 2025: 신청 대상, 절차, 지급 시기